728x90

일본유학, 워킹홀리데이 집구하기.

유학생들끼리 대화를 하다보면 "집세 얼마야?" "몇 평이야?" 같은 것을 물어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집세를 의미하는 말은 家賃(家賃) 야칭이 있습니다.

반대로 평수(넓이)를 묻고 싶을 경우는帖(じょう)죠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평수를 얘기하지 않고 죠를 사용합니다. 옛날부터 다다미(畳)를 깔았기 때문입니다. 다다미를 하나 깔았다라는 의미로는 1帖라고 사용이 됩니다. 다다미가 몇개(장)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4帖 라는 표현을 하는데, 이것은 일본의 다다미가 깔리지 않은 집에서도 帖(じょう)"죠" 를 사용해 표현하기에 알아두면 매우 좋습니다.

1帖 = 약 1.62㎡

1평 = 2帖(죠) = 3.3㎡

일반적으로 방 넓이에만 帖(죠)가 사용 된 경우가 많기에, 집의 넓이를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생활공간의 면적을 확실히 확인해야 합니다.    

유학 생활 중 기숙사에서 4년을 쭉 사는 사람이 있는 반면, 집을 구해서 사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일본에서 집을 구할 때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일본의 임대 기준입니다.

일본의 임대는 전세 없고 월세만 존재한다는 것.

보증금이 있고, 보증금은 집 파손시 등을 대비해 집주인에게 돈을 맡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2년 계약이 만료 혹은 도중에 계약을 해지 했을 경우에는 청소비, 파손비를 제외한 금액을 돌려봤습니다.

그 외에도 중개수수료, 화재보험 가입비, 열쇠 교환비 등이 있습니다. (주차장 이용비용, 관리비도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도, 가스, 전기세 별도.

일본 유학시 처음 집을 구할 때, 학교가 보증인을 해주기도 하기 때문에 그리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유학 생활을 하다보면, 기숙사에 살 때와는 다르게 일본에서 집을 구하려고 부동산에 가 볼 경우에 집값이 매우 비싸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친한 친구들과 쉐어를 해서 집을 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많은 유학생들이 이렇게 생활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값이 싼 집의 경우 방음 등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기에 확인을 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바빠서, 이렇게 부동산을 돌아다니며 집을 구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사이트를 통해서 집을 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본에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사이트

SUUMO = www.suumo.jp

홈즈 = www.homes.co.jp

이 두 사이트를 저는 주로 이용하는 편입니다.

집을 찾을 때 저는 임대로 집을 구하기에 쉽게 적절한 가격대에 원하는 집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일본의 집은 아파트, 맨션, 단독주택.

아파트와 맨션의 경우 한국(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의미와 많이 다릅니다. 우리 한국 사람들의 이미지의 아파트는 고층건물을 의미하지만, 일본에서 말하는 아파트는 2층 건물을 아파트라 부릅니다. 그렇기에 한국에서 사용되는 의미의 아파트에서 살고 싶을 경우 맨션을 소개해 달라고 부탁을 하거나, 사이트에서 맨션을 클릭해서 찾으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일본의 유명 통신사로는 소프트뱅크(softbank), 에이유(AU), 도코모(docomo)가 있습니다.

이 3기업이 통신사가 일본으 3대 통신사입니다.

여행이 아닌 유학이나 워킹 홀리데이를 가게 된다면 핸드폰은 필수로 개통해야하지만, 절차나 방법이 까다롭고 복잡해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우리나라(한국)와 마찬가지로 핸드폰 약정기간이 보통 2년 정도입니다.

차이점으로는 데이터 요금제. 그리고 무료전화, 문자가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최저 데이터 5GB에 월 4700엔 + 기본료(기기값 등) 을 포함해 총 8천엔 정도 내야하는 경우도 있고. AU의 경우 3GB에 7000엔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에 다른 통신사와의 전화 통화시간이 몇 분이상일 경우 추가요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신 같은 통신사의 경우 무료통화시간대가 있어 그것을 확인하고 통화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핸드폰을 개통할 경우

1. 신분증(여권, 재류카드 등). 학생증이 필요할 경우도 있습니다.

2. 캐쉬카드 혹은 비자카드(마스터 카드), 통장 

3. 도장

 

한국인 대응 카운터도 있기에 일본어를 잘 못하는 경우에도 핸드폰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약정기간 도중 해지하게될 경우 위약금도 있습니다.

비자 기간에 따라 1년이라도 큰 문제 없이 2년 약정에 가입할 수 있지만 워킹홀리데이의 경우 지점에 따라 다르니 주의해야합니다. 

그 외에 Y!mobile (와이모바일) 등의 통신사가 존재합니다.

Y!mobile (와이모바일)의 경우 한국에서 휴대폰을 산지 얼마 안된 상태에서 일본에 오게 되어 유심만 사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플랜에 따라 요금제가 다양하게 있으며 3가지 종류의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S, M, L 플랜. S는 1기가에 월 2980엔 + 별도의 통화료, M은 3GB에 월 3980 + 별도의 통화료, L은 7GB에 5980 + 별도의 통화료. 물론 소비세 별도이며, 가입비가 추가되기도 합니다.

통화기능은 필요없이 데이터만 사용하시는 분들은 와이모바일(Y!mobile) 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폰을 가지고 와서 유심만 바꾸면 되기에 기기값도 별도로 안들기에 훨씬 좋은 플랜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오이타 보리소주

긴자노 스즈메. Ginza no suzume

(銀座のすずめ)

720ml이며 도수는 25도입니다.

긴자노스즈메는 일본 전국적으로 인기가 있어 선물하기 매우 좋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깔끔하며 목넘김이 좋아 어떤 요리와도 잘 어울리는 편입니다.

마시는 방법으로는 스트레이트, 얼음을 타먹거나, 물에 희석해서 마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마시는 방법에서 추천하는 방법은 와리미즈(割り水)로 물을 타서 마시는 방법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와리미즈로 마실 경우 소주 특유의 알콜맛도 전혀 안나서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구매 가능한 곳은 오이타공항 면세점. 혹은 마트 등에서도 가능합니다.

일본 술 선물, 혹은 일본 소주를 찾으시는 분들이 구매하시기에 매우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올 한해는 구마모토 지진, 경주 지진등 지진에 대한 걱정이 많은 상황이었는데, 구마모토 아소산에서 분화 발생.

일본 큐슈 구마모토현에 위치한 아소산

8일 오전 1시 46분경 아소산에서 폭발적인 분화가 발생했고, 분연의 높이는 구름으로 인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일본 기상청은 아소산의 경계 수위를 2단계에서 3단계로 높였습니다.

분화경계수위는 총 5가지입니다.

1단계 활화산 유의

2단계 화구주변규제

3단계 입산규제

4단계 피난준비

5단계 피난

 

현재는 2단계(화구주변규제)에서 3단계(입산규제)로 상향조정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유학 생활 중 운동화를 빨고 싶다는 생각을 한 경우가 있을테지만, 막상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는분들을 위해 운동화 세탁 방법을 올렸습니다. (눈, 비로 인해 신발이 많이 젖었을 경우에 신발을 빨래하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운동화 빨리 말리는 방법

1. 안쓰는 병에 신발을 걸어서 말리기(물기가 빨리 빠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2. 신발 밑에 신문지를 깔아 놓고, 운동화 속에도 신문지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비닐봉지 안에 넣은 뒤 드라이기 활용)

※ 주의 : 드라이기 사용시 가죽신발일 경우 냉풍으로)

 

유학하시는 분, 혹은 집에서 운동화 빨래를 해야하는 경우 참고해주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일본 유학생활이나 워킹홀리데이를 하는데 있어서 통장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됩니다.

준비해야 할 것은 통장(재류카드), 도장이 필요합니다. 또한 휴대폰 번호를 요구 하기도 합니다.

초기 입금액도 필요.(1엔도 가능합니다).

 

재류카드로는 거주지, 남은 비자 유효기간을 확인합니다.

 

저는 3종류의 통장을 가지고 있는데, 오이타 미라이 신용, 우체국, 오이타은행.

학비, 휴대폰요금, 보험료, 야칭 등을 빠져나가게 할 통장, 알바해서 번 돈을 저축할 통장 등으로 나눠서 쓰려니 통장이 3종류가 되었습니다.

 

1. 통장만들기 - 일본에 오자 마자 만들 수 있는 통장(우체국은행) = ゆうちょ銀行 

일본에는 다양한은행이 있는데 유쵸(우체국)은행 이외에는 거의 6개월 이상 거주해야 통장을 만들 수 있게 합니다. 물론, 학교와 연계 되어 있는 은행이라면 은행에서 학교로 와서 유학생들이 단체로 학교에서 통장을 만들 수 있게 도와줍니다.

(저의 경우는 유쵸, 오이타 미라이 신용 두 종류의 통장을 학교에서 만든걸로 기억합니다.)

 

2. 오이타은행 - 제가 살고 있는 동네에서 통장을 만들 수 있는 곳입니다.

(각 지역별로 미츠비시도쿄 ufj, 미츠이, 스미토모 등의 지점이 있으나 벳부에서는 찾을 수 없어서 집 근처에 있는 오이타 은행에서 통장을 만든 것입니다.)

 

이건 제가 직접 가서 통장을 하나 만든 것입니다. 일본에서 생활을 하다보면 알바를 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부모님께 돈을 받아 생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알바를 하게 되는 경우,

통장이 두개가 있을 때 문제가 생깁니다. (알바해서 번 돈에 비해 지출이 많을 경우.)

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통장을 한가지 더 만들어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3. 카드

(크레딧카드, 캐쉬카드)

통장을 만들면 대체로 캐쉬 카드를 신청할 것이냐고 물어봅니다. 캐쉬카드를 만들어 달라고 집으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일주일 걸리는 편이기도 합니다. 캐쉬카드의 용도는 통장을 카드로 만든 것입니다. ATM에서 돈을 인출, 입금은 가능하지만, 인터넷이나, 음식점에서 결제는 안됩니다.

 

반면, 크레딧카드는 인터넷 등의 카드 결제가 가능하지만 연회비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